일반적으로, 국가가 투자를 확대하는 주요 목적은 국민 소득을 높이는 것이다. 인구 증가가 국내총투자율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 새로 늘어난 인구의 일자리 해결을 위한 제조업 투자이다. 둘째, 새로 늘어난 인구에 공공 서비스와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투자이다. 셋째, 새로 늘어난 인구의 거주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부동산 투자이다. 그러나 고령화의 영향으로, 이 세 분야의 투자 수요는 뚜렷이 감소하게 된다. 이런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는 중국 당국의 투자율 변화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개혁개방 이후 2010년은 중국 경제의 전환기 특징이 매우 또렷이 나타난다. 2010년 이전, 중국의 국내총투자율은 노동 인구 비중의 증가에 따라 계속 증가했으며, 2010년 47.9%라는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2010년 이후에는 중국 노동 인구 비중이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국내총투자율도 점차 하락했다. 고령화는 재정 수지에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영향을 끼친다.
첫째, 지출 측면에서 연금 지출, 의료 위생 서비스 등의 증가를 초래해 재정 부담을 가중시킨다. 둘째, 수입 측면에서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조세 대상과 재정 수입도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일본을 예로 들면, 1975년을 전후해서 일본은 급속한 고령화에 접어들었으며, 1985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10%를 돌파, 2018년에는 이미 27.05%에 달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의 재정 지출 중 사회보장 지출 규모는 199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09년, 2010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100조 엔(약 1천조 원)을 넘어섰다. 지출 비중도 1972년의 14%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에는 33.75%에 달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정부의 재정적자율은 10%가량 수준을 장기적으로 유지했다. 마찬가지로,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고령화 추세가 가속됨에 따라 연금 부족도 날로 상승하고 있으며, 연금 재정의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