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산업생태계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섹터와 테마에 투자자의 눈과 귀가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내 증시에도 다양한 섹터와 테마에 투자자는 ETF(상장지수펀드)가 속속 상장되고 있다. 현재 증시에 상장된 ETF가 457개 중 테마와 섹터 ETF가 118개로 25.7%나 된다. 상장 ETF 넷 중 하나(25.7%)가 섹터와 테마 ETF인 셈이다.
시가총액이란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모든 종목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것의 합이다.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해 비교 시점의 시가총액의 배율을 구해 지수를 산출한다. 코스피는 1980년 1월 4일을 100으로 보고 지수를 산출한다. 구성종목을 시가총액만큼 매입하면 되기 때문에 지수를 산출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의 주가 등락에 지수 전체가 휘둘리는 단점도 있다.
주가 가중 방식은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주식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려하지 않고, 주가만 고려해 지수를 산출한다. 미국의 다우지수가 대표적이다.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주가만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지수를 산출하기는 편리하다. 하지만 규모가 큰 회사나 작은 회사나 같은 비중으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모순이 있다. 편입된 종목이 액면분할을 통해 주가가 떨어지면, 지수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동일가중방식은 시가총액이나 주가와 무관하게 지수 내 종목에 같은 비중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지수를 산출한다. 1억원을 100종목에 투자할 경우 모든 종목에 100만원씩 투자한다고 보면 된다. 'KRX BBIG K-뉴딜 지수'의 경우 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 분야에서 시가총액 상위 기업 3개씩 총 12개 종목을 12분의 1씩 균등 비율로 편입한다. 시가총액방식과 동일가중방식을 혼합해 지수를 산출하기도 한다. 'KRX 게임 K-뉴딜 지수'는 게임분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으로 구성되는데, 시가총액 상위 3개에는 25%씩 균등 투자하고, 나머지 7개에는 시가총액에 비례해 투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