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 INFORMATION
2023. 06. 20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서로를 구하는 ‘다정함’
다정함에 대하여
img
단절과 분리의 시대를 가까스로 지나가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무엇일까? 팬데믹의 터널에서 벗어나 다시 한번 연결되는 세상에서, 어쩌면 일찍이 그러한 깨달음이 필요했던 세계에서 허무와 결핍을 채우는 다정함에 관한 목소리가 들려오는 이유에 대하여.
기술의 시대, 고독한 사람들
스마트폰 사용 여부로 고독사를 감시한다. SF 소설 같은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한 통신사가 스마트폰 ‘잠금 해제’ 빈도를 통해 고독사 여부를 살피는 ‘고독사 예방을 위한 안부 서비스’를 신설했다. 이 시스템은 고객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데이터 센터에서 고객의 통화와 문자, 모바일 데이터 사용 여부 등의 통신 데이터를 추적해 일정 기간 동안 통신과 전기 사용량의 유무를 확인하고 예측한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함께 대두되는 고독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빠르게 반영한 기술 맞춤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분명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고독사를 돌봐야 하는 서비스가 발달한다는 건 그 시대에 방치된 고독이 적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정부 실태 조사에 따르면 작년 한 해 고독사 사망자 수는 3,378명이다. 과연 이 고독은 그저 어떤 이들의 인생에만 드리운 그림자일까?
img
SNS에서는 행복한 일상으로 가득해 보인다. 타인의 일상과 비교해 자신의 삶을 비루하게 생각하는 ‘카페인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SNS에서는 매일 행복한 일상이 전시된다. 마치 모두가 매일같이 저마다 활기로 가득한 세상을 사는 것만 같다. 그런데 SNS로 매일매일 들여다보게 되는 타인의 행복으로 인해 우울해지는 이들이 있다고 한다. 타인의 멋진 일상을 들여다보고 동경하다 보니 정작 자신의 삶이 비루하다고 느끼며 우울증을 겪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카페인 우울증’이라는 진단명까지 생겼다.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첫 음절을 따서 만든 신조어로 SNS가 만들어낸 우울증이라는 정체성을 온전히 반영한 것이다. 그러니까 이건 비유적 언어가 아니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증세다. 우리는 지금 저마다 우울의 터널을 지나가고 있는 존재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비단 한국인에게만 해당하는 건 아닐 것이다.
“혼란스럽다면 제발 다정해줘!”
“다들 무섭고 혼란스러워서 싸우려는 거 알아요. 나도 혼란스러워요. 그런데 왠지 다 내 잘못 같아요. 내가 아는거라곤 다정해야 한다는 거예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의 진정한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클라이맥스에 등장하는 이 대사는 기발하고 기괴한 구경거리처럼 느껴지던 멀티버스 세계를 울림의 장으로 변환한다. 동양인 이민자 가족의 삶을 소재로 세대간 갈등과 정체성의 고민을 독창적 세계관으로 펼쳐낸 이 영화는 좀처럼 안주할 수 없는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의 삶을 전례 없는 영화적 형식으로 창조해낸 역작이다.

코인 빨래방을 운영하며 근근이 삶을 꾸려가는 에블린(양자경)의 삶은 버겁기만 하다. 좀처럼 도움은 되지않고 성가시기만 한 남편 웨이먼드(키 호이 콴)와 자꾸 멀어져만 가는 딸 조이(스테파니 수), 그리고 점점 늙어 가면서 밥투정을 하는 아버지(제임스 홍)까지. 손을 빌릴 길은 요원하고 오히려 손이 필요한 존재처럼 여겨지는 가족 때문에 삶이 힘겹다.

그런 에블린은 멀티버스의 자아로 분리되는 경험을 거듭하며 다양한 자신의 삶을 대면하는 순간, 역설적으로 자신이 포기한 삶의 가능성을 깨닫는다. 그래서 ‘모든 건 부질없다’는 비관으로 내려앉아 무의미하게 여겨지는 세상의 소멸을 방관하고, 모두를 파괴하려 한다. 그때 웨이먼드는 에블린에게 간절히 호소한다. “제발 다정함을 보여줘! 특히나 뭐가 뭔지 혼란스러울 땐!”
인류의 생존법, 다정함
그렇다. 이 세계에는 지금 다정함이 필요하다. 누군가의 사랑과 친근한 마음이 절실하다. 누군가는 단절되는 고독 속에서 생의 끝을 예감하고, 누군가는 공허한 연결의 미로 속에서 홀로 헤맨다. 손을 내미는 이 하나 없는 세상의 구석으로 내몰리고, 만난 적 없지만 연결돼 있다는 착각을 전전하며 길을 잃는 이들에게 필요한 건 입에서 입으로, 손에서 손으로, 눈에서 눈으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이어지는 다정함일 것이다.
quote_base_before
손을 내미는 이 하나 없는 세상의 구석으로 내몰리고,
만난 적 없지만 연결돼 있다는 착각을 전전하며 길을 잃는 이들에게 필요한 건
입에서 입으로, 손에서 손으로, 눈에서 눈으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이어지는 다정함일 것이다.
quote_base_after
이는 지금껏 인류가 생존해온 고유의 전략이기도 하다. 개인적 소견이 아니다. 진화인류학을 연구하는 브라이언 헤어 박사와 저널리스트 버네사 우즈가 공동으로 집필한 저서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는 인류가 친화력을 바탕으로 집단으로 공생하며 문명을 발전시켜올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럼으로써 인류를 지배해온 것은 적자생존의 규칙이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의 삶은 얼마나 많은 적을 정복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친구를 만들었느냐로 평가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 종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숨은 비결이다.”

인류가 허구를 창작하고 공유하는 것도 공동체 의식과 무관하지 않다. 이스라엘의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저서 <사피엔스>에 따르면 “허구를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야말로 사피엔스가 사용하는 언어의 가장 독특한 측면”이라고 하며, “오직 호모사피엔스만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말할 수 있고, 아침을 먹기도 전에 불가능한 일을 여섯 가지나 믿어버릴 수 있다는 데 동의할 것”이라고 했다. 집단생활로 우위를 차지한 호모사피엔스가 현생 인류의 기원이 된 건 바로 이런 집단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교류의 기반이 상상력에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타인과의 교류가 늘 행복을 촉진하는 것만은 아니다. 관계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역시 감당해야 할 일이다. 그런데 그걸 감당하는 것 역시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여정에 포함된다고 한다.
img
과학자들은 인류가 진화하게 된 키워드로 다정함을 손꼽는다.
또한 호모사피엔스가 현생 인류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체 의식과 무관하지 않다.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교수 켈리 하딩의 저서 <다정함의 과학>은 건강한 삶의 해답이 사회적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인생의 핵심 요소”이며 “스트레스가 없는 유일한 사람은 죽은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결국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도 살아가는 영역 안에서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관계를 포기하면 스트레스도 사라지겠지만 반대편에 자리한 가능성에도 다다를 수 없을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괴로워할 때 손을 잡으면 두 사람의 호흡과 심장박동이 같아진다고 한다. 두 사람의 몸이 비슷한 조화를 이룬다는 것인데, 이를 ‘동조 현상’이라고 한다. <다정함의 과학>에 기술된 이 내용은 결국 우리가 함께 치유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설득한다.

감당하기 싫어서 고개를 돌릴 수는 있지만, 혼자이기를 자처하지 말자. 결국 서로 마주 보고자 하는 마음이 자신을 혹은 자신이 사랑하게 될 누군가를 살릴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 다정함이 영화처럼 세상을 구할지는 몰라도 한 사람의 삶은 돌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돌본 삶이 하나씩 모여 이 세계를 이룰 것이다. 결국 다정함은 그렇게 세상을 구하고, 우리는 그 세상을 함께 변화시킬 것이다.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를 모아볼 수 있습니다.
#인문 #예술 #라이프 #영화
글. 민용준(대중문화 칼럼니스트)
COPYRIGHT 2021(C) MIRAE ASSET SECURITIES CO,.LTD.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