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1년의 노고가 결실을 맺는 계절이다. 하지만 올해는 ‘슈퍼 엘니뇨’ 현상에 따른 곡물 가격 상승이 예고되는 가운데 흑해 곡물 협정 파기까지 겹치면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와 그에 따른 기후 위기 여파는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류의 지혜가 필요한 시기다.
올해만큼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 현상이 대량 발생한 적이 없었다.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 만큼 홍수, 가뭄, 폭염, 산불 등 각종 기상재해가 인류의 삶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상 낙원이라 불리는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일어난 산불은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발생했고, 때마침 불어닥친 허리케인 때문에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미국 애리조나에서는 40℃를 웃도는 폭염이 한 달 넘게 계속되자 그곳의 명물인 대형 선인장들이 말라버렸다. 한밤중까지 지속되는 폭염으로 플로리다주 앞 바닷물이 38℃가 넘는 등 바다도 백화현상이 일어나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보다 내년을 더 걱정한다. 미국 기후예측센터CPC는 내년 1월부터 3월까지 겨울 동안 엘니뇨 기상 패턴이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고, 세계기상기구WMO도 올 하반기부터 내년 초까지 이상기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엘니뇨를 예의 주시해야 하는 이유는 곡물 생산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주 기술 회사 막사Maxar의 기상학자 크리스 하이드가 엘니뇨의 수준이 강력해질수록 작물 생산 프로세스에 변화가 올 것이라고 분석한것과 무관하지 않다. 인도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호주 및 아프리카의 주요 곡물 수출국들이 커피·팜유· 설탕· 밀·초콜릿· 쌀 등의 선적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는 뉴스도 흘러나오고 있다. 기후 위기가 식량에 미치는 영향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영화 <마션>에서는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는 장면이 등장한다. ‘스마트 팜’ 기술로 구현 가능한 미래다. ⓒ이십세기폭스
기상이변이 가져온 위기는 쌀뿐 아니라 다양한 농작물 경작에도 빨간불로 경고하고 있다. 브라질은 극심한 가뭄과 한파로 커피 작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국제 커피콩 시세가 급등하는 상황은 성인 1인당 연간 350잔 넘게 커피를 마시는 한국인에게 달갑지 않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는 새로운 농업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스마트 팜Smart Farm’은 계절적 한계, 지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신기술이다. 예를 들어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커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북 김천에서는 멕시코 고추라 불리는 할라페뇨를, 전남 영광에서는 열대 과일 애플망고가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비해 국토 면적이 절반 정도인 네덜란드는 스마트 팜 보급률이 99%에 달하며, 이 같은 첨단 농업으로 세계에서 미국과 브라질에 이어 제3위의 농산물 수출국이 되었다. IMF와 세계은행의 미래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인구 증가, 도시화가 확대될 2050년대 3대 산업 메가트렌드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그리고 ‘애그테크(농업+기술)’다.
모빌리티나 헬스케어는 충분히 예상했겠지만, 애그테크는 좀 의외로 생각될 것이다. 그런데 빌 게이츠나 짐 로저스 같은 투자의 달인들이 이미 농업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만큼 미래 농업은 기후변화나 물 부족, 식량 부족으로 인해 매우 중요한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우리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시간과 공간적 제약 없이 고부가가치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애그테크를 적극 개발·지원하고 있다. 기존 농업기술에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농업의 지능화를 꾀하는 애그테크의 중요성이 스마트 팜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의 스마트 팜은 농촌의 부족한 일손을 대신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농업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스마트 팜의 규모화, 집적화, 청년 창업, 기술혁신, 판로 개척을 농업인과 산업계 및 연구 기관의 협업을 통해 주도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전북 김제, 경북 상주, 전남 고흥, 경남 밀양에 조성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