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 LIFESTYLE
2021. 03. 01
코스피 3000시대,
현명한 투자법은?
심리학과 뇌과학으로 보는 투자
img
연초부터 코스피 지수가 역사적인 3,000 선을 넘으며 주식시장에는 매일 새롭게 참여하는 개인의 돈이 물밀듯 들어오고 있다. 그런데 과연 시장 참여자 모두가 이 위세를 유지하며 수익성과 안정성이라는 두 상반된 목표를 성취할 수 있을까? 쉽지 않다. 그러면 왜 주식 투자는 어려운 것일까? 그 이유를 정신의학적 관점에서 찾아 투자의 핵심 지혜를 모색해본다.
가격이 상승한 주식을 매도하는 처분 효과와
손해 입었던 자산을 다시 사는 재매수 효과
부동산이나 주식 등을 사고팔 때는 누구든지 가능한 지식을 끌어모으고 정보를 수집해서 가장 합리적인 방향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순전히 심리적 요인에 의해 의사결정을 할 때가 많다. 미국 시카고 대학교 리처드 탈러교수는 “인간은 제한된 합리성과 시간 속에 선택을 하는 보통 인간”이라고 설명하면서 의사결정 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회계mental accounting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공헌으로 그는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그가 쓴 책 <넛지Nudge>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 비합리적 의사 결정을 내림으로써 투자 실패에 이르는 과정을 뇌과학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행동재무학 연구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편향 가운데 하나가 성공적인 주식보다 실패한 주식을 더 오래 보유하려는 성향이다. 대다수 투자자는 손해를 본 주식은 계속 갖고 있으려 하고, 이익을 본 주식은 금세 팔아 치우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바로 처분효과disposition effect다. 많은 학자는 후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처분효과가 생긴다고 주장한다. 주가가 떨어져 손해를 보고 있음에도 팔았을 때 왜 이런 주식을 샀을까 후회하는 감정이 밀려오고, 혹시라도 오르게 되면 더욱 후회할 것 같아서 선뜻 팔지 못한다. 주가가 올라 수익이 나고 있으면 좀 더 추이를 보면서 상한가를 기대해야 하는데, 곧 떨어져서 후회하면 어쩌나 염려되어 오래 가지고 있지 못하고 팔아버리는 것이다.

2014년 프리드먼Frydman 연구팀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참가자들에게 자산 가격이 상승한 화면을 보여준 다음, 뇌의 활성도 변화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관찰했다. 방법은 먼저 참가자들에게 주식 가격변동 후에 계속 보유할지 매도할지 결정을 묻는다. 결정 후 각기 다른 참가자들의 배쪽 선조체의 활성도 변화를 측정했다. 배쪽 선조체는 보상을 받았을 때 활성화되는 우리 뇌의 부위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큰 처분 효과를 보였다. 가격이 오른 주식을 지나치게 빨리 매도함으로써 큰 이익을 놓친 것이다.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할 때는 배쪽선조체의 활성이 증가했으나, 가격이 오른 자산을 보유할 때는 증가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가격이 오른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보다 서둘러 팔아 치울 때 더 높은보상을 느낀다. 지나치게 빨리 자산을 매도하고 싶어하는 처분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 실험 참가자들에게서는 다른 종류의 인지 오류인재매수 효과repurchase effect도 유의미하게 관찰되었다. 재매수효과란 이전에 손해를 입었던 자산을 다시 사는 경향을 말한다. 자신이 매도한 후 가격이 오른 주식을 다시 매수하거나, 이전에 손실을 보고 팔았던 주식을 또 사들이는 식이다. 앞선 실험처럼 참가자들에게 이전에 구매할 기회가 있었던 주식 가격이 상승하는 화면을 보여주었더니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 집단에서 배쪽 선조체의 활성이 감소했다. 활성도가 감소한다는 것은 참가자들이 후회하고 있다는 의미다. 투자 기회를 놓친 참가자들의 후회가 재매수를 부추기는 것이다. 처분 효과와 재매수 효과는 상당히 높은 연관성을 보였는데, 가격이 올랐을 때 재빨리 팔아 치우는 사람이 결국은 더 비싼 가격에 재매수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인지 오류로 인해 투자자들은 끊임없이 거래를 하게 됨으로써 시간을 잡아먹고, 투자 수익은 감소하는 것이다.
위험 부담만큼 커지는
보상 기대감
뇌에서 쾌감을 느끼도록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 바로 도파민dopamine이다. 인간도 도파민이 분비되면 흥분을 느끼고 의욕이 샘솟으며, 흥미가 생겨난다. 행복과 기쁨을 가져다주는 건 모두 도파민과 관련되어 있다. 돈을 버는 기쁨도 마찬가지다. 돈을 벌면 벌수록 도파민을 분비하는 뇌의 복측피개부VTA와 측좌핵NAc이 활성화된다. 코카인 중독자나 모르핀 투여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하다. 끝없이 추구하는 심리는 마치 마약중독과 같다. 기대와 달리 혹은 기대 이상 돈을 벌면 뇌에서 도파민이 분비되어 쾌감을 느끼게 되고, 이 쾌감을 기대하는 보상 심리로 인해 이득을 추구하는 행동을 멈출 수 없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카멜리아 쿠넨과 브라이언 넛슨 교수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와 컴퓨터게임을 이용해 투자자들이 의사 결정을 할 때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관해 조사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안전해 보이는 채권, 가격이 들쑥날쑥하는 2개의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했다. 2개의 주식 중 하나는 상승하는 우량주였고, 하나는 하락하는 불량주였다.
우량주에 대한 투자를 줄이는 대신 불량주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참가자들이 있었다. 이때 이들 뇌의 측좌핵이 활성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계속 하락세의 주식을 선택해 손해가 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기쁨과 쾌감을 주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미 오른 주식에 대한 투자보다는 앞으로 올라갈 것으로 기대되는 주식에 대한 투자가 더 짜릿한 쾌감을 주기 때문에 이런 투자를 한 것이다. 위험 부담만큼 보상에 대한 기대도 크다.
반면 우량주에 대한 투자를 줄이는 대신 채권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참가자들이 있었다. 나중에 오를 수 있으나 수시로 등락을 거듭하는 주식을 사서 마음 졸이느니 이익은 적더라도 안전한 채권을 사서 마음이 편안해지는 쪽을 선택한 것이다. 이때 이들 뇌의 뇌섬엽insula 부위가 활성화되었다. 뇌섬엽은 통증과 관련된 부위로 심리적 고통을 당할 때 활성화된다. 향후 기대되는 보상보다 지금 겪는 불안과 초조를 견딜 수 없어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자 안전한 채권에 투자한 사람들이다. 손실에 대한 가능성이 곧 고통이다.
img
그럴듯한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좌뇌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신경학자 로저 스페리의 제자 마이클 가자니가는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절제 시술을 받은 환자의 오른쪽 눈에 닭 발톱을 보여주고, 왼쪽 눈에는 눈이 쌓인 언덕을 보여준 후 이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보도록 했다. 환자는 왼손으로 삽을 그렸고, 오른손으로 닭을 그렸다. 각각 좌뇌와 우뇌에 입력된 정보대로 그린 것이다. 가자니가가 왜 이런 그림을 그렸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환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간단합니다. 닭의 발톱을 보고 닭을 그렸고, 삽은 닭장을 치울 때 필요해서 그렸습니다.”
스페리에 따르면 좌뇌는 이성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우뇌는 직관적이고 감정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그림을 그린 이유를 설명하는 일은 좌뇌가 담당하는데, 좌뇌는 오른손이 한 일은 알고 있으나 왼손이 한 일은 알지 못한다. 질문을 받았을 때 이 환자는 모른다고 대답하지 않고 자기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그럴듯한 답을 지어낸 것이다. 좌뇌는 자신이 가진 한정된 정보만 으로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는 내러티브narrative, 즉 인과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좌뇌는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순간적으로 관찰한 정보 또는 언뜻 떠오른 자신의 생각을 그럴싸하게 꾸며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그 이야기를 통해 현실을 짜 맞추려는 경향, 이것이 경제적 의사 결정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정보에 기초한 내러티브가
투자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현상을 분석해 정확하게 미래를 예측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몇 번 우연히 맞아떨어진 자신의 직관이나 감각에 의존하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투자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투자의 바다는 캄캄한 망망대해와 같다. 그 어디에도 항구나 등대의 불빛이 보이지 않는다. 자신만의 등대를 만들어야 한다. 그 등대가 바로 심리학과 뇌과학이다. 내 마음의 움직임과 뇌의 작동 원리를 제대로 알아야 이리저리 휩쓸리거나 남들이 하는 걸 답습해 우왕좌왕하지 않고 자신만의 원칙과 소신을 따라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뇌과학의 원리를 이해한다면 최소한 위험한 상황으로 내몰리지 않을 수 있다. 심리적요인에 의지해 의사 결정을 하는 것은 금물이다. 사실과 정보와 지식에 기초한 내러티브가 투자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투자에 앞서 의사 결정을 할 때 내가 가지고 있는 내러티브, 내가 확신하고 있는 내러티브가 과연 현명한지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
quote_base_before
투자의 바다는 캄캄한 망망대해와 같다.
그 어디에도 항구나 등대의 불빛이 보이지 않는다.
자신만의 등대를 만들어야 한다.
그 등대가 바로 심리학과 뇌과학이다.
quote_base_after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를 모아볼 수 있습니다.
#투자
글. 최명제 <정신의학신문> 칼럼니스트‧건대하늘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COPYRIGHT 2021(C) MIRAE ASSET SECURITIES CO,.LTD.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