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연금 투자자들의 실수…
"고수익 좇지 말고 손실을 줄여라"
최근 연금을 투자상품으로 옮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 분석에 의하면 2019년 한 해 동안 연금저축을 다른 금융회사로 이체한 경우가 4만669건이었고, 금액은 약 9400억원이었다고 한다.
같은 기간 연금저축 펀드는 19.1% 늘었으나, 연금저축 보험과 신탁은 각각 5.2%와 1.3% 증가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금저축 보험이나 신탁에서 연금저축 펀드로 이동한 사람이 많았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자신을 통제할 수 없다면 자동투자시스템을 활용
둘째, 자신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없다면 자동투자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낫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사람은 때로 합리적이지 않은 투자 의사결정을 한다. 대표적인 예가 행동재무학에서 이야기하는 '손실 회피 편향'이다. 이 편향은 이익을 얻고자 하는 욕구보다 손실을 회피하고자 하는 욕구를 더 강하게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런 성향이 강한 투자자는 투자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회복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 해당 투자를 정리할 경우 손실이 확정되는데 그 상황을 참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행동하면 자칫 손실이 커지는 경우 장기 투자수익률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 손실 회피 편향은 자산 가격이 회복됐을 때도 문제를 일으킨다. 원금이 회복되는 순간 자산을 처분해 떠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투자를 하면서 인간의 비합리적인 성향을 극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투자자들은 자동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매월 일정액이 자동으로 연금계좌에 이체돼 펀드 투자가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설정해 놓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자신이 수시로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것에 비해 비합리적인 행동을 할 확률이 줄어든다. 물론 그렇다고 그 이후 투자에 대해 완전히 신경을 끊으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주기를 정해놓고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은 필요하다.
셋째, '변동성을 줄이는 가장 손쉬운 대안은 분산'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 장기 투자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손실의 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투자 안의 변동성 자체를 줄여야 하며, 가장 손쉬운 대안은 여러 지역의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다.
국내 주식에만 투자했을 때와 해외 선진국 주식에도 분산 투자했을 경우의 변동성 변화를 비교해 보면, 10년을 투자할 때 글로벌 분산 투자로 인해 변동성이 거의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