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최대기업 릴라이언스,
인터넷 모바일 혁신을 주도하다
인도를 이해하려면 요가를 수행하거나 커리 종류를 아는 것보다 기업 하나를 잘 아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다. 바로 인도 최대 기업 릴라이언스그룹(이하 릴라이언스)이다. 이 회사는 인도의 여러 제약 조건 아래서 사업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잘 보여준다. 지금 인도는 모바일 인터넷에 기반을 둔 비즈니스 모델이 개화하고 있는데, 이를 주도하는 기업이 릴라이언스이기도 하다.
이 회사는 한동안 투자자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2016년 이전까지만 해도 주력 사업이 정유·석유화학으로, 글로벌 가격 변동에 따라 기업 이익이 좌우되는 사업 모델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2010년대 중반 이동통신에 무모할 정도의 투자를 감행하면서 순 부채가 30조원에 이를 정도로 재무적 위험이 커지기도 했다.
인도에서 부채 비율이 높은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조달 금리가 너무 높기 때문이다. 인도 경제는 주력 수출 산업이 없어 매년 경상수지는 적자에다 자본은 만성적으로 부족했다. 신용도가 높은 대기업이라도 은행 대출 이자는 연 10%를 훌쩍 넘었다. 해외에서 저렴하게 조달할 수도 있겠으나 인도 통화가 지속적으로 약세였기 때문에 헤지(hedge·위험 회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런 배경 때문에 인도는 아주 오래된 가족 기업들이 대를 이어서 내수 시장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오랫동안 쌓아온 브랜드 가치 덕분에 비교적 쉽게 잉여현금흐름을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적당한 수준의 재투자를 하며 성장을 지속해왔다.
반면 인도의 스타트업은 아무리 좋은 사업 아이디어가 있어도 대출 비용이 워낙 많이 들기 때문에 고성장을 추구하기 어렵다. 세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2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적 자원이 넘치지만, 스타트업의 성장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다.
릴라이언스가 무모해 보이는 투자를 강행하기 시작한 것은 이동통신 사업에 새로 진출하겠다고 선언한 2012년쯤이었다. 당시 많은 사람이 고개를 갸우뚱했다. “설마 수십조원이 필요한 이동통신 인프라 투자를 직접 할까, 기존 통신사들을 인수하는 방식일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런데 막상 2015년 전후로 완전히 새로운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수십조원을 퍼붓기 시작하자, 많은 사람이 경악하기 시작했다. 대규모 돈을 쏟아 부은 신규 사업이 성공할 것이냐 여부는 둘째치고 만약 정상화 속도가 늦어진다면 이자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 뻔하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경악은 합당한 근거가 있었다. 오랫동안 인도 이동통신 산업 전체가 이익을 충분히 벌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인도 이동통신업은 10여 개 기업이 난립하며 가격 경쟁이 치열했다. 인도 사용자들이 내는 월 사용료(ARPU)는 2000원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네트워크 투자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장비 비용은 글로벌 선진국 기준으로 책정되기 마련이니, 여기서 딜레마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등 기업 바르티에어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적자와 흑자 혹은 부도 사태를 반복했다. 업계 전체가 이렇게 안 좋은 상황이었으니 기존 통신사 어디도, 2010년대 초 선진국에서 보편화한 4G(4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투자하지 못하고 있었다. 심지어 2016년쯤 주요 이동통신사인 아이디어(Idea)의 사장은 한 인터뷰에서 “인도의 모바일 인터넷은 이미 포화 상태라서 4G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릴라이언스는 여기서 기회를 발견했다. 지금은 너무나 당연하게 들리겠지만, 3G 네트워크와 4G 네트워크가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수준은 하늘과 땅 차이다. 인터넷 서비스가 원활히 돌아가기 위해서는 4G 네트워크가 반드시 필요했다.
돌이켜보면 미국에서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줌과 같은 인터넷 사업 모델이 대성공을 거둔 데에는 주요 선진국에 4G 네트워크가 충분히 깔린 덕분이었다. 한국이 소규모 경제에도 경쟁력 있는 인터넷 기업들을 다수 배출하는 것도 다른 나라보다 앞서 인프라를 깔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모바일 인터넷이 소비자에게 얼마나 호감을 살지 간파한 릴라이언스는 후발 주자라 하더라도 남들보다 먼저 4G 네트워크에투자하면 승산이 있다고 생각했다.
릴라이언스의 베팅은 맞아떨어졌다. 릴라이언스는 2016년 처음으로 4G 서비스인 지오(Jio)를 선보이고서 고성장을 지속하더니 2019년 1위 기업이 됐고, 지금은 매출 점유율 40%에 이를 정도로 압도적인 존재가 됐다.
이는 이동통신 산업 특성에 비춰보면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극적인 변화다. 이동통신 비즈니스 모델은 웬만하면 업체 간 점유율이 바뀌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에서도 통신사 간 점유율은 20년째 큰 변화가 없다. 예외가 있다면 일본 소프트뱅크가 2008년 애플과 독점 계약을 통해 아이폰을 최초로 도입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4년 만에 18%에서 25%로 끌어올린 정도다. 여기에 비하면 릴라이언스가 4년 만에 점유율을 0%에서 40%로 만든 것은 그야말로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전무후무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