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 LIFESTYLE
2024. 06. 24
삶을 한층 더 향기롭게
만드는 후각
후각의 기능
img
향기는 시간을 되돌리는 힘이 있다. 바람을 타고 온 향기가 코끝에 스치는 순간, 그 향기를 맡았던 시간과 공간으로 우리를 단숨에 데려간다. 햇살에 잘 마른 빨래들이 빨랫줄에 가득하던 어린 시절 집 앞마당이거나 학창 시절 뛰놀던 교실 한가운데일 수도 있다. 후각을 통해 추억은 쉬이 소환되고, 그 추억과 기억 덕분에 삶은 오늘도 한층 더 달콤해진다.
삶과 밀접한 연관성
후각은 인간의 오감 중에서 가장 즉각적 반응을 끌어낸다.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의 베티나 파우제Bettina Pause 생물심리학 교수는
“시각, 후각과 달리 인간은 체내 화학적 메시지를 의도적으로 바꿀 수 없다”며 “그것이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언급했다.
이는 뇌파 실험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청각과 시각은 뇌에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이 단 6초밖에 되지 않지만, 후각은 최소 5배가 넘는 시간 동안 뇌에 정보를 저장한다.

또 인간은 자면서도 냄새를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깊이 잠든 사람의 코 밑에 장미꽃을 갖다 대면 표정이 바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만큼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그래서 형사가 사건을 수사할 때 논리적 추리에 앞서 어떤 낌새를 느끼면 “냄새를 맡았다”라고 표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렇게 후각은 늘 간발의 차로 다른 감각보다 앞서는데, 우리가 후각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유혹적이라도 보고 듣고 만지는 행위를 우리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 하지만 냄새는 우리 코를 그저 통과해버린다.
img
1 베티나 파우제 교수는 저서 <냄새의 심리학>에서 오감 중 후각은 숨길 수 없는, 가장 신뢰할 만한 정보를 준다고 분석했다.
2 영화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에는 후각의 본능적 특징을 예술적 상상으로 극대화해 사람을 매혹시키는 향수가 등장한다. ©(주)누리픽처스
후각의 주요 기능인 냄새를 맡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냄새를 잘 맡고 이에 따르는 삶은 진실하다”는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Jean Paul Sartre의 말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일상 속에서 냄새를 풍기고 타인의 냄새를 통해 지각과 감정의 변화를 일으킨다.
후각이 발달한 사람들의 뇌는 감정의 중추인 편도체와 사회적 뇌인 중간 전두엽 간 연결이 뛰어났다.

<냄새의 심리학> 저자 베티나 파우제 교수는 후각이 사회성과 연관성이 깊다고 강조한다. 사회적 관계망이 넓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냄새를 더 잘 맡는다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화학적 의사소통이 중요할 수밖에 없으므로 냄새를 잘 감지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관계에서 유리하다.
추억을 소환하는 후각 기능
인간도 다른 포유류에 비해선 후각이 퇴화했다지만 시각이나 촉각보다 후각으로 가려낼 수 있는 것이 많다. 시각이나 촉각으로 가려낼 수 없는 이물질도 옷에 묻었는지 여부를 후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 대표적이다. 기능이 약해졌다고는 해도 여전히 인간은 최소 4,000여 가지 냄새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 후각의 강렬한 인상은 인간 뇌 구조의 특성 때문에 사람의 기억에 더욱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짜릿한 사건의 기억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4,000여 가지 냄새라는 정서와 함께 뇌리에 깊이 새겨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억은 냄새와 얽히면서 강한 증폭작용을 한다. 역사 속에서 중요한 일을 전하는 기준으로 냄새가 거론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삼국사기>에 냄새, 즉 ‘향기’가 언급된 기록은 총 16건에 달한다. “왕이 태어난 날 저녁에 신비한 향기가 방에 가득했다”라는 표현처럼
왕의 탄생이나 즉위, 불교의 도입과 연결되거나 귀족 가옥에서 의 침향 허용 여부에 거론되는 식이다.
img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서 주인공은 홍차에 적신 마들렌 향기를 맡으며 어린 시절을 회상한다. ©찬란
기억과 후각의 작용은 소설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프루스트 효과Proust Effect’라는 말이 있듯이 후각의 자극을 통해 과거 기억을
재생해낼 수 있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뛰어난 지성과 예민한 감성의 소유자인 ‘나’는 이렇게 읊조린다. “늙은 요리사가 가져다준 토스트 한 조각을 차에 적셨을 때, 나는 제라늄과 오렌지나무의 향기를 맡으며 행복이 주는 아주 특별한 빛을 경험할 수 있었다. 갑자기 그 여름을 기억할수 있었다. 내가 차에 적신 비스코티를 맛보는 순간, 내 앞에는 무채색의 정원 풍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우리 일상의 기억도 향기라 할 법한 좋은 냄새와 함께 할 때 뚜렷하게 떠오른다. 거리를 지나다가 발걸음을 멈추게 했던 빵 가게의 달콤한 향기, 어머니가 차려주시던 저녁밥 냄새, 첫사랑에게서 느껴지던 아련한 샴푸 향까지 후각과 연관된 기억이 감정적으로 증폭돼 다가온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자신의 마음과 존재를 드러내게 하는 향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강신재 작가의 소설 <젊은 느티나무>의 첫 문장이다. 열여덟 살의 여고생 주인공은 어머니의 재혼으로 가족이 되어버린 대학생 오빠를 가족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저 글을 읽어보면 느낄 수 있듯 이복오빠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작가들은 후각을 자신의 마음 혹은 작품 속 등장인물의 마음을 드러내는 요소로 자주 사용한다. 전혜린 작가의 일기장에 쓰인
“어두운 밤, 자욱한 안개, 별들의 냄새”라는 표현에서는 외로움의 정서가 느껴진다.

역사 속에서 좋은 냄새는 자존심과 직결된다는 사례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서구의 상류층 여성들은 거리의 먼지와 오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하이힐을 신고, 향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제정러시아의 예카테리나Ekaterina 여제는 향수를 푼 물에 발을 담근 뒤 공작 깃털 부채로 말리는 것을 좋아했고, 영국의 엘리자베스Elizabeth 1세는 치아가 모두 망가져 구취가 발생하자 향수를 뿌린 손수건으로 감췄다는 일화도 있다.
img
1 후각을 통해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한 영화 <기생충> ©CJ ENM
2 향수를 푼 물에 발을 씻은 뒤 공작 깃털 부채로 말리는 것을 즐겼던 예카테리나 여제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후각은 이성적이고 비판적인 왼쪽 뇌를 억제하면서 창조적인 오른쪽 뇌를 자극한다. 이 때문에 후각이 불러일으키는 기억의 감정 농도는 다른 감각에 비해 훨씬 높다. 헬렌 켈러는 “냄새야말로 나를 수천 마일 떨어진 먼 곳으로 데려다주고,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세월을 뛰어넘어 시간 여행을 하게 만드는 강력한 마법사”라고 말했다. 우리의 마음과 정신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유일한 감각인 후각은 삶을 보다 향기롭게 만드는 요소임이 틀림없다.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를 모아볼 수 있습니다.
#인문 #라이프 #취미/취향
글. 김동욱(한국경제신문 오피니언 부장)
COPYRIGHT 2021(C) MIRAE ASSET SECURITIES CO,.LTD.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