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AZINE / LIFESTYLE
2024. 02. 26
겨울과 봄의 경계 위,
생경한 풍경
계절을 품은 명화들
img
늦겨울에서 초봄을 지나가는 이 이중적 시간은 삭막함이나 고요함이라는 단어보다 분주하다는 표현이 제격이다. 대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예술가에게도 이 계절의 매력은 차가움과 따뜻함, 활력과 정적의 서로 상반된 주파수를 넘나든다. 겨울이지만 겨울이 아닌 듯, 봄이 왔지만 아직 완연한 봄이 아닌 생경한 계절의 풍경으로 안내한다.
달콤 쌉싸래한 겨울 풍경
볼수록 침이 고이는 풍경이다. 설산 위에 덧입힌 화사한 분홍색과 나무 위를 뒤덮은 녹색과 주황 그리고 파랑의 향연은 알록달록한 캔디를 연상시킨다.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Ernst Ludwig Kirchner. 1880~1938의 작품 ‘겨울의 다보스’는 손을 뻗으면 얼굴만 한 롤리팝이 잡힐 듯 강렬한 원색이 인상적이다. 독일의 표현주의 선구자 키르히너는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원시미술에 매료되어 거칠고 원색적인 그림을 추구했다.

그는 1917년 전쟁을 피하려고 스위스 다보스 근처로 이주해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겨울의 다보스’ 속 알록달록한 분홍빛은 새벽녘 막 동이 트기 시작한 무렵처럼 느껴진다. 하얀 설경을 붉게 물들이는 절경을 보며 화가의 마음도 뜨겁게 물들었으리라. 키르히너는 마치 꽁꽁 얼어버린 땅에서도 희망을 발견해 세상에 내보이는 슈퍼맨처럼 눈에 파묻힌 빛을 붓과 물감으로 그대로 표현했다.
img
귀스타브 루아조, ‘겨울의 우아즈’
키르히너의 다보스가 동화 속 세상이라면, 귀스타브 루아조Gustave Loiseau, 1865~1935‘겨울의 우아즈’는 서정적인 낭만 여행을 떠오르게 한다. 신인상주의 풍경화가 루아조는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자연에서 예술적 영감을 얻었다. 강렬한 빛 표현에 몰두한 기존 인상파들과 달리
그는 눈이나 비가 내리거나, 안개와 서리가 끼고, 구름이 하늘을 짙게 가리는 풍경을 즐겨 그렸다.

“나는 자연에서 받은 인상을 회화로 재해석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오로지 직관만으로 작품을 이끌어내며, 바로 그 지점에서 나의 작품은 다른 어느 화가의 작품과도 유사하지 않다.”

우아즈강을 묘사한 이 작품은 조용한 마을 풍경과 중성적 색채, 겨울의 서늘한 공기마저 감지될 듯한 건조한 표면이 돋보인다. 루아조는
마른 붓으로 짧은 선과 점을 툭툭 끊어 올리며 겨울 특유의 분위기를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만물이 잠든 겨울에도 색채의 스펙트럼을 예리하게 끄집어내는 화가의 마술에 감탄사만 나온다.
이토록 분주한 겨울
img
클로드 모네, ‘카퓌신가의 대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일상은 왜 이토록 분주할까?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카퓌신가의 대로’에서는 겨울날 복잡한
파리 시내의 분주함이 그대로 느껴진다. 거리를 가득 메운 군중이 움직이는 모습은 빠른 붓 터치와 검은색의 깨알 같은 속기법으로 표현했다. 풍성하던 나뭇잎이 모두 떨어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은 가로수와 그 아래 분주히 오가는 사람들은 자연의 순환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따뜻한 연말을 만들어가는 듯하다.

모네는 프랑스의 대표적 인상파 화가다. 그는 팔레트에 미리 색을 섞지 않고 캔버스에 직접 채색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삼는 인상주의 양식을 처음 선보였다. 또한 특정한 장소와 시간에서 순간순간 변화하는 빛의 조화를 포착해 그리기를 즐겼다. 거리와 카바레, 센강 풍경, 그 속에서 일하거나 쉬는 사람들이 주인공이었다.
img
보리스 쿠스토디예프, ‘샬랴핀의 초상’
러시아 화가이자 무대 디자이너 보리스 쿠스토디예프Boris Kustodiev, 1878~1927는 주로 러시아의 전통문화와 축제, 러시아 상인들의 일상을 밝고 화사한 색채로 옮겼다. 그의 예술 세계는 삶에 대한 긍정과 사랑, 행복감, 러시아에 대한 무한한 애정으로 집중된다.

‘샬랴핀의 초상’은 러시아의 대표적 오페라 가수 표도르 샬랴핀을 주인공으로 한다. 샬랴핀은 오페라 <악인의 힘>을 준비하던 중 쿠스토디예프에게 공연의 무대 디자인을 의뢰했고, 쿠스토디예프는 공연장을 방문한 후 두꺼운 털 코트를 입은 샬랴핀을 그렸다.

마치 오페라 공연의 한 장면 같기도 한 이 그림은 상징적 모티브를 느낄 수 있다. 먼저 정장 차림의 샬랴핀은 당시 유행하던 지팡이를 짚고 있으며, 오른쪽 하단에는 샬랴핀이 가장 좋아하는 강아지가 앙증맞게 서 있다. 왼쪽 하단에는 축제 광장을 걸어 다니는 샬랴핀의 두 딸이 등장한다.

쿠스토디예프가 이 그림을 그리던 시기의 러시아는 혁명과 내전으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사랑하는 러시아의 불행한 상황에 맞서 전통적 풍경을 묘사함으로써 평화와 화합을 노래했다.
가볍게 날아든 봄
img
해럴드 하비, ‘초봄’
겨울과 봄의 경계에 선 이른 봄에는 어린싹이 대지를 뒤덮기 시작한다. 바로 해럴드 하비Harold Harvey, 1874~1941‘초봄’의 풍경과 똑같을 것이다. 넓고 푸른 들판이 매력적인 ‘초봄’은 보자기에 싼 갓난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의 모습을 담고 있다. 푸른 하늘과 하얀 꽃이 만발한 초원은 보는 이의 마음까지 시원하게 해주며, 여인을 바라보는 화가의 따뜻한 시선이 느껴진다.

하비는 고향을 향한 깊은 애정과 일상의 소박한 감성을 화폭에 담았다. 영국 콘월의 조그만 항구도시 펜잰스Penzance에서 평생을 보낸 그는 항구 근처 뉴린에 형성된 뉴린파Newlyn School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1911년에는 같은 고향 출신인 거트루드 보디나와 결혼했는데, 독학으로 그림을 배운 아내와 함께 전시를 열기도 했다. 하비는 어부와 농부 등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노동자를 주로 그렸다. 하비의 화풍은 낭만적이며 인상주의에 가깝고, 밝은 색채와 단순한 구성, 빠른 붓 터치가 특징이다. 초상화와 실내 풍경화, 종교화, 콘월을 배경으로 한 풍경화에는 삶을 보듬어 안는 소박하고 정겨운 감성이 가득하다.

속세의 명예에 연연하지 않고 생을 마칠 때까지 고향에서 소박한 삶을 살다 간 하비. 아름다운 자연과 사랑하는 아내는 이 그림에서도, 그리고 화가의 삶에서도 소중한 전부였을 것이다.
img
아르투어 하이어, ‘흰 고양이와 나비’
초봄의 풍경은 동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동물을 즐겨 그린 아르투어 하이어Arthur Heyer, 1872~1931‘흰 고양이와 나비’를 보노라면 그저 봄이 왔구나 싶다. 이 작품은 풀숲에서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는 터키시앙고라를 묘사했다. 북실북실한 털과 신비로운 푸른 눈, 딸기 우유처럼 뽀얀 분홍빛 귀, 코, 발바닥. 울창한 잔디 곳곳에 비치는 햇빛은 이 한낮의 풍경을 더욱 평화롭게 만들어준다.

하이어는 초기에 풍자적인 그림을 그리다 점차 사슴, 산토끼, 꿩, 닭, 개 등 수많은 동물 그림을 남겼다. 동물 중에서도 하얀 털과 긴 꼬리로 귀족적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터키시앙고라를 자주 그렸는데, 실제로 하이어는 터키시앙고라의 ‘집사’이기도 했다. 고양이 그림에 탁월해
‘캣 하이어Cat-Heyer’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고양이의 털 색깔처럼 하얗던 겨울은 햇살 아래에서 고양이 걸음을 하며 어느새 멀리 도망간다. 다시, 봄이다.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를 모아볼 수 있습니다.
#예술 #계절(봄)
글. 이현(<아트인컬처> 부편집장)
COPYRIGHT 2021(C) MIRAE ASSET SECURITIES CO,.LTD.ALL RIGHTS RESERVED.